1. 채 잡기

 


-사물놀이의 경우
-왼손에 궁채(궁글채) : 둥그런 머리가 달린 것
-오른손에 열채(가락채) : 가느다란 대나무 채

-정악이나 민요 반주의 경우 : 궁글채가 없음, 열채만 가지고 반주.

 

 

2. 구음

 


-왼쪽만 치면 : 쿵
-오른쪽 왼쪽 같이치면 : 덩
-덩, 쿵, 더덩은 왼손과 관련이 있고
-기덕, 덕, 더러러러 등은 오른 손과 관련이 있습니다.

3. 아래는 좀 복잡하지만 장구에 대한 설명과 사물놀이에 쓰이는 장구 치는법입니다.


가죽 타악기의 하나로 양편 머리가 크고 그 허리가 가늘다 하여 세요고라고도 한다.
이름에 대해 여러 의견이 있으나 한자로 지팡이'장'과 북'고'를 쓰면 장고가 맞고,
노루'장'과 개'구'를 쓰면 장구도 맞다. 풍물의 현장을 조사하는 가운데,
전북 진안 김봉열선생님과 강원도 강릉 박기하 선생님도 옛날부터 어른들께서
장구의 가죽을 노루가죽과 개가죽으로 썼다 하여 장구가 맞다고 한다.

사람들 사이에서도 보통 장구라고 많이 부른다. 여기서도 장구로 통일해서 부르기로 하였다.
장구의 크기는 길이 70센티미터, 지름 30센티미터정도되는 오동나무, 미루나무, 소나무등을 파서 만든다.

 

 

장구통을 만드는 방법에 따라 통째로 깎아 만든 통장구와 나무조각을 깎아서
보통 두 쪽 내지 세 쪽으로 맞춘 쪽장구가 있다.
쪽장구보다 통장구의 소리가 울림이 좋고,
소나무통을 으뜸으로 치나 일반적으로 오통나무를 많이 쓰고 있다.

 

 

장구통의 궁통과 채통을 이어주는 곳을 조롱목이라 하는데,
조롱목이 너무 넓으면 소리가 해프고, 조롱목이 너무 좁으면 소리가 되바라진다.

철테(원철)둘레에 8개의 쇠고리(쇠갈고리, 구철)를 걸어

 


무명을 꼬아 만든 줄(숫바, 홍진사, 축승)로 얽어 매고,
죔줄(축수, 부전)을 좌우로 움직여 소리를 조절한다.

왼쪽(북편, 궁편)은 말가죽이나 소가죽, 노루가죽을 대가죽이 좀 두껍고 소리가 낮으며,
오른쪽(채편)은 보통 말가죽이나 개가죽을 대가죽이 얇고, 높은 소리를 낸다.

가죽으로는 개가죽이 소리도 크고 제일 좋다.

 

 

장구는 사물 악기중 유일하게 음양성을 낼 수 있는 악기로
쇠와 같이 섬세한 가락을 연주하며,
특히 가락, 몸동작, 고개짓등이 어우러지며
흥을 낼 때에는 판에서의 역할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장구채(열채,둥글채)

 

장구의 채로는 궁채(궁글채)와 열채(가락채)가 있는데,
궁채는 30센티미터 정도의 대나무 뿌리를 잘 삶아서 똑바로 편 다음,
끝부분에 박달나무와 같이 단단한 나무 또는 뿔을 끼워서 만들고,
쥐는 곳은 가죽을 꿰매서 사용한다.

열채는 40센치정도의 대나무를 깎아서 만든다.
이때 편편하게 깍지 안고 둥글게 깍아야 가죽 소리가 선명하게 난다.

 

 

타 법

 

장구는두 손으로 치기 때문에 가장 다양한 소리를 내 어깨춤이 절로 나게 만든다.
분위기를 흐드러지게 하고 풍성하게 만드는데 없어서는 안 될 악기이며,
민요나 춤 장단을 칠때는 궁편을 손으로 치기도 한다.
장구를 치는 사람의 독특한 가락의 짜임이나 멋 혹은 개성적인 발림을
버금새혹은 너름새라고 하는데 명인들의 경우
여러 가지 멋있는 버금새들을 많이 보여준다.

 

 

치는 자세중에 앉은반은 장구의 위치는
채편이 몸중앙에서 오른쪽으로 넘어가지 않게 왼쪽으로 놓고,
왼 무릎으로 장고줄을 누르고,
오른쪽 발바닥으로 채편을 수직으로 반치며 허리를 세운다.

선반은 위치는 앉은반과 동일하며 가능한 한 채편이 앞을 보게 칼을 차듯이 왼쪽 옆구리에 차서 맨다.

 

 

장구의 구음

 

궁 - 궁채(왼손)로 북편(궁편, 왼쪽 가죽)을 친다.
쿵 - 궁채로 채편(열편, 오른쪽 가죽)을 친다.
구궁 - 궁을 연달아 두번 감아 친다.
구르르르 - 궁체를 연속적으로 굴려 친다.
국 - 궁을 친 동시에 궁채를 가죽에서 떼지 않고
울음을 잡는다.
구 - 궁을 살짝 치거나 손가락으로 울음을 살짝
잡는다.
따 - 열채로 채편을 쳤다가 바로 뗀다.
딱,닥 - 따를 치는 동시에 열채를 변죽에 붙인다.
다,기 - 열채 끝으로 살짝 친다.
다르르르 - 열채 끝으로 연속적으로 굴려 친다.
기닥 - 열채로 기와 닥을 치되 연달아 감아 친다.
두루닥 - 먼저 열채 끝으로 두번(두루)튀기고
연달아 감아서 닥(딱)을 친다.
덕,떠 - 열채로 변죽을 친다.
덩 - 궁과 따 또는 변죽을 동시에 친다.
텅 - 덩을 치되 모두 채편을 친다.
더르르르 - 구르르르와 다르르르를 동시에 친다.
기덩,정 - 기닥을 치되 닥과 동시에 궁을 친다.
기더궁,저궁- 기덩을 친후 연속적으로 궁을 친다.
구덩 - 구궁을 치되 뒷궁과 동시에 딱을 친다.
구정 - 기닥과 구궁을 동시에 친다.
탁 - 궁채와 열채를 부딪혀 소리를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