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월한 대북 전략

 

 

연평도에서 국군은 북한의 무모한 군사도발의 연쇄 사슬을 

끊어 버릴 수 있는,   하늘이 준 기회를 눈앞에서 놓쳐 버렸다. 

피가 끓어오른다. 
왜 이럴까. 역사를 뒤로 돌려 보면 답이 나온다.   
한국은 전면전으로 잃을 게 두려워 

아무런 보복도 하지 못한다는 것을

역사적 경험으로 체득하고 있다. 

그런데 

정말 남·북한 어느 쪽이 전면전을 더 두려워할까? 

정답은 잘사는 쪽이다.  

그렇다면 한반도에서 가장 재산이 많고 

지킬 것이 많은 사람은 누구일까?  
한국의 재벌가일까?  
아니다. 김정일이다. 

김정일은 유럽과 아시아 각국에 묻어 놓은 

수십억 달러의 외화 예금 외에도 북한 전역의 

경치 수려한 곳마다 지어 놓은 

수많은 특각(별장)들, 저택들, 사냥터들, 낚시터들 

그리고 외국에 사놓은 비싼 저택들을 가지고 있는

한반도 최대의 부자다. 

 

북한 땅 전체가 그의 부동산이고,

북한 주민 전체가 그의 소유물·노예라고 할 수 있다.

 

수백 대의 벤츠와 BMW, 흑해의 캐비아나 보르도 와인 등이 

들어 있는 식품 창고들, 수만 편의 영화들을 소장하고 있는 

영화저장소 정도는 그에게 '껌값'이다. 

이런 엄청난 부자가, 그것도 이제 막 거대한 재산을 

26세짜리 막내에게 상속하려는 김정일이 전쟁을 

불사하려고 할까?

 

그들의 곁에서 충성만 하면 명예와 부를 대대로

누릴 수 있는 당과 군의 간부들이 전쟁을 불사할까? 

 

대답은 "아니다"이다. 


그들은 전면전을 두려워한다. 

북한은 연말연시, 국경절, 4·15(김일성 생일)나 2·16(김정일 

생일) 등 주요 계기마다 '사건 사고를 예방하고 경비를 

강화할 데 대한' 당 중앙위 비서국 지시문을 전당(全黨)에 내려 

보낸다. 

군도 예외가 아니다. 

군에 내려 보내는 비서국 지시문에는 휴전선이나

서해 5도 등 주요 지점에서 경비를 강화하고 적의 도발에 

말려들지 말 것을 명령한다.

 한국군이 오발 사고 같은 것을 낼 때 전면전 가능성이 있으니

 마음대로 행동하지 말라는 것이다. 

1991년 걸프전 양상을 보면서 미군이 북한을 공격한다면 

북은 일주일 안에 끝장난다고 북한군의 한 부총참모장

(현재 북한 군부의 실세다)이 발언한 적이 있다. 

이 모든 것은 북한 지도부가 전면전을

 속으로 얼마나 두려워하는지 보여주고 있다. 

 


한국에서는 국민이 전쟁을 두려워한다. 지킬 것이 많기 때문이다.

한국에선 대통령이고, 정부고, 국회고, 정당이고 모두가 이런 국민의 눈치를 봐야 한다.

북한은 당장 전쟁이 일어날 것처럼 위협하고 포탄 100여발만 

쏟아 부으면 이 한국민들을 얼마든지 겁줄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제 두려움을 숨기고 남의 두려움을 이용하는 이 작전은 

지금까지 성공했다. 

북한에 단호하게 대응하는 것은 전쟁을 벌이자는 것이 아니라 

전쟁 억지력을 김정일 정권에 보여주자는 것이다. 

전쟁을 각오하지 않는 국가는 적의 침입으로부터

 나라를 지켜내지 못했다는 역사의 교훈은 얼마든지 있다. 

국민은 북한의 위협에 의연하게 대처하고 정부와 군대는 

북한의 도발을 힘들게 예측하려 들지 말고 대응 매뉴얼을 만들어

자동으로 실행하면 된다.

 

 북한군 4군단이 우리 서해 5도에 포격을 가하면

 명령을 내린 군단 사령부가 있는 해주시의 

김일성 동상을 포격하면 된다.

 

북이 경기도를 포격한다는데 이 경우 개성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김일성 동상을 없애면 된다.

 

북한이 도발 수준을 더 높이면 

평양 만수대의 김일성의 거대 동상이나

김일성 시신이 있는 곳, 김정일 거처를 타격하면 

된다


그들의 우상인 김일성 동상이 날아가고 

김정일이 직접 얻어맞을 수 있다 교전 수칙을 

북한군에게 경고하는데도 이를 알면서

우리 영토에 포격을 가할 배짱을 가진 군인이나 

장군이 북한군에 단 한 명도 없다.

 

 

 그들의 손발을 오그라들게 만들어야 

한다. 위협과 협박의 연쇄 사슬을 

단호하게 끊어내고

우리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한다. 

 

 


글/고영환. 전 북한외교관, 전략문제연구소 상임연구원 

 

오 주여

 

 

 

 

profile